매듭법
작성자 정보
- 장덕상 작성 1,799 조회
- 작성일
컨텐츠 정보
본문
매 듭 법
<?xml:namespace prefix = o ns = "urn:schemas-microsoft-com:office:office" />
<?xml:namespace prefix = v ns = "urn:schemas-microsoft-com:vml" /><?xml:namespace prefix = w ns = "urn:schemas-microsoft-com:office:word" />1. 옭매듭(overhand knot)
가장 기본적인 매듭으로 매듭을 할 경우 로프의 양쪽 끝에 꼭 해주어야 하는 매듭이기도 하다.
2. 클로브 히치(clove hitch) (까베스똥-불어)
간단히 빠르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카라비너를 이용, 확보물을 연결시키거나 짐을 끌어올릴 때 많이 사용하는 매듭이다. 등반 중 나무밑동에 확보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.
3. 맞매듭(square knot)
옭매듭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매듭이다.
주로 줄을 연결할 때나 응급처치시 삼각건을 묶을 때 주로 사용된다.
4. 보우라인 매듭(bowline knot)
이 매듭은 안전밸트 없이 등반할 때 선등자와 후등자가 사용하는 매듭이다. 사용시 주의할 점은 매듭이 헐렁할 경우 뒤집히면 몸이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매듭을 팽팽히 조이고 끝은 옭매듭으로 묶어주어야 한다.
5. 8자 매듭
이 매듭은 매듭의 강도가 높고 강한 충격을 받은 후에도 쉽게 풀리는 이상적인 매듭으로 선등자와 후등자 사이에 등반하는 중간 등반자가 주로 한다.
선․후등자도 로프의 끝부분에 이 매듭을 짓고 안전밸트에 잠금 카라비너를 걸어 사용하기도 한다.
6. 어부매듭(fisherman's knot)
이 매듭은 두 줄을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이용되는 매듭이다.
양쪽끝은 반드시 옭매듭을 해주어야 한다.
7. 푸르지크 매듭(prusik knot)
이 매듭은 고정된 줄을 이용해서 등반하거나 구조시 사용된다. 굵은 로프에 가는 로프를 감는 매듭인데 가는 것은 코드슬링이로 된 직경 7mm 미만을 쓴다.
8. 테이프 매듭
테이프(넓적한 끈)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매듭이다.
관련자료
-
이전